사시경의 경험론

송풍기 점검 주의사항과 위해 위험 요소 본문

설비

송풍기 점검 주의사항과 위해 위험 요소

사시경 2025. 2. 22. 07:37
728x90
반응형

송풍기는 전동기를 동력으로 밸트가 동력을 송풍기 풀리에 전달하여 임펠러를 동작시키는 장비입니다.
각종 기능실 또는 기능에 따른 급기 송풍기, 배기 송풍기가 공조실에 여러대 설치 되어있습니다.
송풍기 점검 중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송풍기 점검의 필요성

송풍기의 밸트가 파손되면서 풀리에 협착되는 경우 마찰로 인해 연기와 타는 냄새가 발생합니다.
과열로 인해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인화성 물질 등으로 전달되면 화재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 점검이나 일상순회점검시 송풍기 밸트의 상태를 면밀히 점검해야 됩니다.
밸트장력상태, 밸트 균열여부, 밸트 미끄러짐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송풍기 점검전 주의사항

작업중 송풍기 기동 위험

1. 모터제어반(MCC) 전원차단 
2. 제어반 점검중 표시 부착
 
송풍기 작업중 발생 위험은 작업자가 작업중 자동제어프로그램에 의한 자동기동 또는 타 작업자에 의한 수동기동으로 작업자 부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송풍기가 해당 장비임을 확인하고 전원을 차단하여 기동을 방지합니다.
그리고 타 작업자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중 표시를 부착합니다.
 

송풍기 작업 중 주의사항

밸트커버 낙하에 의한 부상위험

1. 밸트 커버 볼트 분리(2인 1조)
2. 볼트 분리 후 고정 상태에서 동시에 양쪽에서 커버 분리 
 
밸트 또는 풀리 점검을 위한 밸트커버 분리 작업시 커버의 낙하에 의한 다리부분 부상위험이 있습니다.
2인 1조 작업시 작업자간 상호 호흡이 중요합니다.
채결된 볼트를 해제하고 작업자간 상호 소통하여 동시에 커버를 들어 내립니다.
중량물에 의한 부상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모 착용 및 안전화 착용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
밸트 손끼임 위험

1. 밸트 상태 육안 점검
2. 풀리 회전시키며 밸트 내측 및 풀리 점검
 
밸트 점검 또는 교체작업시 밸트 손끼임 위험이 있습니다.
풀리가 돌아가변서 점검중이던 손이 풀리와 밸트 사이에 끼일 위험이 매우 큽니다.
밸트 점검시에는 타 점검자 보다 점검자 본인이 밸트를 돌리면서 점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작업자간 상호 작업 호흡과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또한 밸트 점검시 장갑에 의해 손이 끼일 위험이 크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중 발생될수 있는 사항은 그밖에 기능실 환경조건에 따라 다양합니다.
따라서 현장 상황적 위험요소를 TBM(Tool Box Meeting)을 통해 작업자간 위험요소를 발굴하고 대처방안을 스스로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