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철도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
- 티스토리챌린지
- 전기기사회로이론
- 교통안전관리론정리
- 기계설비안전
- 교통안전법정리
- 회로이론정리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 철도공학정리
- 승강기안전스위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공부
- 전기기사회로이론정리
- 철도안전법공부
- 철도산업위원회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전기기초이론
- 철도안전법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공학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대비
- 에스컬레이터안전스위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준비
- 전기기사필기이론
- 철도안전법정리
- 철도안전관리체계변경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자격증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안전법
- 철도교통안전관리시험
- Today
- Total
목록설비 (34)
사시경의 경험론

펌프의 성능을 파악하는데 해당펌프의 기동시 요구하는 유량이 나오는가 중요합니다.유량이 나온다면 설계 시 양정도 만족할 만한 상태라고 파악합니다.기계설비의 성능점검에 있어 펌프의 성능을 점검항목은 기동시 전류, 유량을 측정합니다.전류 측정 방법과 유량 측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전류측정 방법측정 개소 정격 전류 확인측정 장비 상태 확인(전류 측정용 후크메타, 검전기)배관 상태 확인(밸브류 정상상태, 배관 연결 상태, 배수구 상태)MCC제어반 개방(감전주의)전원 공급 상태 확인전류계 설치(후크메타기 사용)스위치 모드 수동(MANU)위치, 현장 점검자 신호에 의해 펌프 기동(ON) 버튼 동작측정기 수치 확인 및 MCC제어반 전류계 일치 여부 확인펌프 정지(OFF)버튼 동작, 펌프 기동정지측정 전류치 점검기록부..

배수펌프 설비배수펌프는 건물의 지하에 설치된 설비로 지하수 또는 빗물을 배수하거나 생활하수를 배수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배수펌프의 특성상 배수펌프실을 별도로 구획하고 아래 공간에 집수정이 있습니다.배수펌프실에 제어반이 있는 경우도 있고 침수의 우려상 다른 장소에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배수펌프실 점검 및 작업 시 주의해야 될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배수펌프 점검 전 준비사항1. 점검 대상 배수펌프, 제어반 확인2. 제어반 전원차단, 검전기 이용 전원상태 확인 3. 배관 외관, 밸브류 및 압력계 상태 확인배수펌프 점검 시 위험요인 및 안전 대책개구부(맨홀) 추락위험 1. 안전대, 안전모, 안전화 등 안전보호구 착용2. 2인 1조 보호덮개 개방배수펌프실은 지하수에 의한 라돈 발생으로 인해 맨홀을 밀폐하..
송풍기는 전동기를 동력으로 밸트가 동력을 송풍기 풀리에 전달하여 임펠러를 동작시키는 장비입니다.각종 기능실 또는 기능에 따른 급기 송풍기, 배기 송풍기가 공조실에 여러대 설치 되어있습니다.송풍기 점검 중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송풍기 점검의 필요성송풍기의 밸트가 파손되면서 풀리에 협착되는 경우 마찰로 인해 연기와 타는 냄새가 발생합니다.과열로 인해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인화성 물질 등으로 전달되면 화재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정기 점검이나 일상순회점검시 송풍기 밸트의 상태를 면밀히 점검해야 됩니다.밸트장력상태, 밸트 균열여부, 밸트 미끄러짐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송풍기 점검전 주의사항작업중 송풍기 기동 위험1. 모터제어반(MCC) 전원차단 2. 제어반 점검중 표시 부착 송풍기 작업중 발..

공기조화기기계설비 시설물 중 공기조화기는 외기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장치입니다.비례댐퍼를 조정하여 공기의 양을 조정합니다.공기조화기 점검 시 위험요소에 대한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공기조화기 점검 위치별 위험 요인 및 방지 대책위험요인을 공기조화기를 외부, 내부, 제어반 점검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1) 공조기 외관점검▶ 공조기 외함 돌출부 충돌 위험→ 안전모 착용 ▶ 응축수 퇴수배관 걸림 넘어짐 위험→ 배관 넘이 설치, 점검 및 작업 전 주위 설비 배치 확인▶ 회전체 점검 중 동작 위험→ 제어반 전원 차단, 작업 중 LOTO 부착▶ 회전체 점검 중 동작 위험→ 제어반 전원 차단, 작업 중 LOTO 부착 (2) 공조기 내부점검▶내부 점검 시 송풍기 기동 위험→ 제..

기동방식 중 하나인 Y-D기동회로에서 MCC제어반 타이머 불량 시 발생되는 문제점입니다.또한 회로에 정격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를 시 모터를 보호하기 위한 괴전류계전기 설정의 중요성도 포함됩니다.MCC 제어반 점검 시 조작회로의 정상적 동작상태를 필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1) 현상 -전동기 기동 불가(2) 점검내용-전동기 절연저항 측정-측정결과 모터 소손(0옴)(3) 원인-MCC제어반 연동상태 확인-기동시 전자접촉기(M, Y) 작동 지속 ↳타이머 설정시간 후 Delta전자접촉기 동작 불가-전자식 과전류계전기(EOCR) 설정치 불량 ↳전동기 정격 24A이나 28.8A로 설정→타이머 불량으로 D기동 안 되는 상황과 EOCR설정 불량 = 과부하 운전 지속(4) 조치내용-전동기 권선교체-타이머교체, 전자..

일반적으로 공조실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제어반 MCC(Motor Control Center)의 점검 시 주의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MCC의 형태를 먼저 살펴보면 각 장비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전면에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고 기동, 정지 버튼 및 상태표시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요즈음에는 대부분 과전류보호계전기 EOCR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EOCR은 앞서 기술한 해당목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CC의 전원은 크게 기동전원과 조작전원으로 구분됩니다. 기동전원은 모터를 돌리기 위한 전원이고 조작전원은 모터제어반 내 회로의 구성을 위한 전원입니다. MCC제어반 점검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전원 통전부 먼저 MCC제어반을 개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일상적인 육안점검, 정기점검(기동..

엘리베이터의 고장현상은 인버터 과전압(over-voltage)보호 경보 발생하며 승강기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엘리베이터 인버터 입력은 정상 전압(380V)이 뜨는데 출력단은 전압이 나오지 않습니다. 동일한 층을 운행하는 다른 승강기의 인버터와 상호교체해 보았는데 동일하게 과전압 경보를 발생시키고 승강기는 약간 움직이다가 기동을 하지 않습니다. 제작사 인버터 매뉴얼의 경보기능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위의 표와 같이 과전압 보호회로가 동작되었습니다. 회생 에너지가 일정 규정치 이상 증가하면 인버터의 출력을 차단했던 것입니다. 또한 전원계통의 써지 전압에 의한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인버터가 동작되지 않으니 상호교체하는 방법으로 인버터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것은 오류였습니다. 먼저 인버터의 해당 경보의 원..

설비에서 겨울에 가장 취약한 부분은 물배관 설비입니다. 배관 보온만으로도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배관 보온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되거나 외기에 가까운 곳의 실내에 설치된 배관에는 정온전선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동파취약 개소외부 노출 배관외기에 가까운 내부의 배관설비수도계량기정온전선의 기능정온전선은 배관에 감아 일정온도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컨트롤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열선이 가열되어 배관의 동결을 방지합니다.사용시기일반적으로 12월에서 2월 동안 약 3개월 운용합니다. 영하의 날씨가 지속되면 동결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정온전선 제어반 구성온도 컨트롤러, 메인전원차단기, 분기차단기, 전자접촉기, 릴레이, 휴즈 등 유지관리-온도 컨트롤러 정상상태 점..

엘리베이터(E/V)에는 많은 안전장치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 도어장치입니다. 승객이 탑승 후에 잠금이 확실히 되어야 하고 승강층에 도착했을 때 카도어와 홀도어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잠금을 해제시켜야 합니다. 문 닫힘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기계적인 잠김 장치의 정상동작과 전기적인 접점이 안전루프화 되어 도어에 문제가 발생 시 승강기를 정지시킵니다. 엘리베이터(E/V) 도어장치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어장치의 정의카 및 승강장 문틀에 설치, 동력에 의해 개폐되는 장치(조립체)→문이 열리고 닫히는 장치형태에 따른 종류 : 수평개폐문, 수직개폐문, 여닫이문카 도어장치 구조구성 : 카도어 전동기, 감속기, 구동벨트, 구동암 등→최근에는 구동암 등 제거하고 직접구동방식 채택도..

관리주체의 의무 승강기(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휠체어리프트 등)의 기능 및 안전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승강기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됨안전관리자 선임관련법 :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29조(승강기 안전관리자) 1항 승강기를 운행 중인 건물의 관리주체는 승강기 안전관리자를 선임하고 법정의무교육을 이수하도록 해야 함교육기간 : 3년마다 재교육안전관리자 변동사항발생 시 : 3개월 이내 선임변경 통보위반 과태료 : 100만 원 이하(선임,변경 미통보), 100만원 이하(교육 미이수)책임보험 가입관련법 :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30조(보험가입) 1항 관리주체는 승강기 사고로 승강기이용자 등 다른 사람의 생명, 신체 또는 재산상의 손해를 배상하기 위한 책임보험에 가입해야 함위반 과태료 : 500만 원 이하자체점검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