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경의 경험론

동력제어반(MCC) 2_배선용차단기/전자접촉기 본문

설비

동력제어반(MCC) 2_배선용차단기/전자접촉기

사시경 2022. 8. 16. 04:40
728x90
반응형

동력 제어반(MCC) 1에 이어 동력 제어반 2에서는 내부 주요 부품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우선 일반적인 Y-Δ 기동 회로를 보면 아래 그림의 회로도와 같습니다.
이 회로도를 참고하여 각 부속품의 기능과 간단한 원리를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회로도를 한 두 번 그려보시는 것을 주천합니다.
도면은 눈으로 보는 것보다 각 회로를 따라 그려보면서 경로를 확인하면 좀 더 빨리 이해가 됩니다.

도면의 기호들도 다양하므로 책자나 유튜브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찾아가며 공부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Y-Delta 기동회로

반응형

▶주요 부속기기

1. 배선용 전원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부스바에서 각 장비 MCC 제어반으로 오는 첫 단에 배선용 전원차단기가 설치됩니다.
이 부분은 제어반 외관의 핸들부입니다. 핸들부 안쪽에 전원차단기가 맞물려 설치되어 있습니다.
핸들을 ON 방향으로 돌리면 차단기 전원이 투입되는 것이고 OFF 방향으로 돌리면 전원이 차단됩니다.

배선용 전원 차단기 MCCB

 

배선용 전원차단기에는 전류 용량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해당 전류치 이상시 차단기가 차단됩니다. 일명 트립(trip)이라고 합니다.
트립 발생 시 트립 푸시버튼(Trip Push-botton)을 누르면 트립이 해제됩니다.
원인 파악을 위해 EOCR(과전류 계전기) 상태를 확인하거나 후크메타를 이용하여 전류치 이상 여부를 측정해 보아야 합니다.
트립이 계속된다면 모터 소손의 가능성이 크므로 모터 절연저항 측정으로 소손 여부 확인도 필요합니다.
배선용 전원차단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현장 개별 장비들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안전을 위해서 현장 장비점검시 반드시 전원차단기를 차단 후 점검해야 합니다.
고장장비의 전원을 투입해서도 안되므로 배선용 전원차단기의 전원을 차단 후 "점검중", "전원투입금지" 또는 "작업중" 안전 표지판을 설치해서 인적 오류로 인한 사고를 막아야 합니다.
작업자가 회전체를 점검하고 있는 사실을 모른 체 또 다른 작업자가 제어반의 전원을 투입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MCC제어반의 배선용 차단기 핸들 부분에 안전표지판을 설치하여 장비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전자접촉기(마그네트(MG))

전자접촉기는 조작에 의해 전동기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위해 설치하는 부품입니다.
위 배선도에서 전원의 공급 경로를 보면 배선용 차단기를 통과하여 주 전자접촉기(마그네트(88M MG))로 전원이 들어옵니다.
그리고 회로 구성에 따라 88Y 전자접촉기가 주 전자접촉기와 동시에 투입되어 모터가 Y 결선에 의한 기동을 합니다.
또 다른 내부 부속품인 설정된 타이머에 의한 일정 시간 경과 후 88Y 접촉은 해제되고 88D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면서 모터는 Δ(델타)기동을 합니다.

전자접촉기 (마그네트)

전자접촉기의 원리는 조작 전원에 의한 220V 전원 투입 시 내부 코일에 전원이 흐르면서 전자기가 되어 평상시 개방되었던 접촉면이 붙어 기동용 전력이 흐르게 됩니다.
조작용 220V 전원이 차단되면 접촉면도 다시 개방됩니다.
자동복귀형 푸시버튼에 의해 기동 명령을 주면 일시적으로 회로를 통해 전자접촉기 코일에 전원이 흐르면서 부속되어 있는 자기 유지 접점이 붙으면서 푸시버튼이 복귀되어도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접촉기를 통한 기동 전원이 공급이 유지됩니다.
전자접촉기의 원리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폐 전자접촉기를 분해해 보는 방법입니다.

전자접촉기 분해

원리를 익히는 데는 그 제품이나 기기의 분해가 가장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됩니다.
꼭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전자접촉기는 접점의 상태가 중요합니다. 접점은 전자접촉기의 수명과 연결됩니다.
장비의 기동시 접촉기에서 스파크가 많이 발생되거나 탄화의 흔적이 보이거나 접점의 단속이 반복될 경우 교체가 필요합니다. 반복적인 단속으로 접촉면의 용융으로 인한 전자접촉기 고착 시 모터 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전에 이상 발생 시 조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분기마다 볼트 단자 조임을 실시하여 배선 접촉 불량으로 인한 스파크나 결상 등을 방지해야 합니다.

다음 편에는 주요부속기기 타이머와 푸시버튼 대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