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철도안전법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준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자격증
- 철도교통안전관리시험
- 승강기안전스위치
- 교통안전법정리
- 전기기사회로이론
- 전기기사필기이론
- 교통안전관리론정리
- 티스토리챌린지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공학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대비
- 철도안전관리체계변경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안전법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철도안전법공부
- 회로이론정리
- 철도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공학정리
- 전기기초이론
- 전기기사회로이론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공부
- 기계설비안전
- 에스컬레이터안전스위치
- 철도산업위원회
- 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오블완
- 철도안전법정리
- Today
- Total
사시경의 경험론
동력제어반(MCC) 3_타이머/푸시버튼 본문
(동력제어반 2에 이어서..)
3. 타이머(Timer)
타이머는 설정된 일정 시간이 흐른 후 장비의 동작 또는 동작을 중단하는 부속기기 입니다.
타이머에 의해 여자된 후 회로의 접점을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합니다.
회로도를 보겠습니다.
왼쪽 3상 R S T 전원은 기동전원 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계설비는 380V 전압을 사용합니다.
3상에서 2상을 빼서 오른쪽으로 보이는 회로가 조작전원이라고 하고 220V가 됩니다.
타이머는 회로상에 동그라미 코일에 T가 있는 것과 MC3코일 위에 있는 삼각형 형태로 된 접점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실제 부속기기는 전기회로도에서 보이는 것과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그라미T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면 코일이 여자되고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흐르면 삼각형 접점 이 동작되는 것입니다.
위의 회로도에서는 타이머 시간 동작 후 점점이 b-접점에서 a-접점으로 바뀌면서 처음 여자되었던 MC3가 해제됩니다.
(b-접점은 평상시 붙어있는 접점이고 a-접점은 평상시 떨어져 있는 접점입니다)
Y-Delta기동회로에서 처음 "Y기동"이 됩니다.
동시에 타이머가 동작됩니다.
즉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동안 전동기 모터의 Y기동이 이루어집니다.
타이머 설정시간이 흐른 후 "Delta기동"으로 바뀝니다.
만일 기동시 Y기동 후 Delta기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머가 고장난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 설치된 동작이 복잡한 제어반을 보면 타이머가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PLC로 바꾸거나 아예 프로그램화 해서 타이머가 많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비용 문제나 프로그램 문제 발생시 빠른 조치가 어려우므로 간단한 회로의 경우에는 타이머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4. 푸시버튼(Push-botton)(ft.전자접촉기 자기유지)
푸시버튼은 기동(ON)버튼과 정지(OFF)버튼이 있습니다.
회로상 보면 기동ON버튼은 "ㅏ" 모양으로 a-접점 형태로 평상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반면 정지OFF버튼도 역시 "ㅏ" 모양으로 b-접점 형태로 평상시 회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푸시버튼은 자동복귀형 입니다.
즉 누르면 다시 원래위치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기동ON버튼을 누르면 일시적으로 회로가 연결되지만 손을 떼면 다시 복구되어 회로가 개방됩니다.
장비 기동을 위해 사람이 계속 버튼을 누르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자기유지회로가 필요합니다.
'자기유지회로'란 기동버튼을 누르면 계속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기유지회로는 ON버튼과 전자접촉기내에 있는 접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위의 회로도를 보겠습니다.
ON버튼을 누르면 전기가 흘러 MC3코일이 여자되고 MC3접점이 붙어 MC1코일이 여자되고 MC1접점이 붙습니다.
이 과정은 ON 푸시버튼를 누르는 순간 일어납니다.
MC1접점이 붙어있어 기동(ON)버튼이 복구되어도 전기가 회로를 통해 계속 공급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자기유지회로라고 부릅니다.
이 상태에서 정지(OFF) 버튼을 누르면 회로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므로 자기유지회로도 해제됩니다.
푸시버튼에 의한 전자접촉기 접점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회로도의 이해도는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푸시버튼에는 표시등이 있습니다.
앞에서 기술했듯이 푸시버튼은 자동복귀형입니다. 기동(ON)푸시버튼을 눌러 자기유지 되는 경우 표시등이 들어 옵니다.
평상시 장비가 정지상태일 때는 정지(OFF) 푸시버튼에 표시등이 들어와 있습니다.
보통 기동 표시등은 적색, 정지 표시등은 녹색을 사용합니다.
기동상태 인지 정지상태 인지 확인을 위해 표시등 상태도 항상 확인이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필라멘트전구를 사용했는데 요즘은 LED전구가 나와서 반 영구적입니다.
유지관리 차원에서 LED전구로 바꾸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동력제어반내 주요부속기기를 살펴보았습니다.
동력제어반내에 또 하나의 중요한 장치가 하나 있습니다.
'과전류 계전기'라 불리는 EOCR입니다.
EOCR은 별도의 주제로 설명하겠습니다.

'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방설비(1)_냉동사이클과 냉동기 주요부품 (0) | 2022.08.22 |
---|---|
과전류 계전기(EOCR) / EOCR 설정 방법 (0) | 2022.08.20 |
동력제어반(MCC) 2_배선용차단기/전자접촉기 (0) | 2022.08.16 |
동력제어반(MCC : Motor Control Center) 1 (1) | 2022.08.13 |
공기조화기 2_열교환기/공기여과기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