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전기기사회로이론
- 철도안전관리체계변경
- 전기기초이론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교통안전관리시험
- 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공학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자격증
- 철도안전법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준비
- 교통안전관리론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공학
- 철도산업위원회
- 승강기안전스위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공부
- 철도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교통안전법정리
- 철도안전법정리
- 철도안전법공부
- 티스토리챌린지
- 전기기사필기이론
- 오블완
- 회로이론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대비
- 에스컬레이터안전스위치
- 전기기사회로이론정리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 기계설비안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안전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디지털관제점 (1)
사시경의 경험론

(3) DI(Digital Input : 디지털 입력) 디지털 값은 0 또는 1로 정의되며 상태 값, 경보 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관제점입니다. 현장 송풍기의 가동상태는 동력제어반의 마그네트 보조 접점이 붙는 경우 가동상태로 인식하고 보조 접점이 떨어지는 경우 정지상태로 인식하여 원격제어반(DDC 또는 RTU)에 접점 상태 값이 전달됩니다. 원격 제어반 내의 DI(Digital Input) 카드로 해당 신호가 전달되어 접점을 형성하여 메인보드 프로세서에 보내서 통신을 통해 자동제어 서버로 해당 관제점의 상태를 전달합니다. DI카드는 해당 상태 관제점 별로 LED 표시등이 설치되어 자동제어 시스템의 이상인지 아니면 동력 제어반에서의 문제인지 비교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그네트(MG)의 보조접점을 이용한 상..
설비
2022. 9. 16. 0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