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경의 경험론

하니웰 자동제어 EBI R610 본문

설비

하니웰 자동제어 EBI R610

사시경 2023. 5. 16. 14:42
728x90
반응형

하니웰 EBI(Enterprise Building Integer) 기본과정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틀간의 교육으로 하니웰 설비 자동제어 프로그램 교육입니다.
현장과 관제실 자동제어 회로망부터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성

EBI 구조


관제실 서버가 있고 Station이라고 일반적으로 부르는 모니터링 장치(컴퓨터)가 있습니다.
포인트서버는 통신트래픽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하위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현장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으로 연결됩니다.
만약 관제실과 DDC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 통신기계실을 통해 광망으로 연결합니다.

■하니웰 자동제어 프로그램
히니웰사의 자동제어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1. STATION
2. Quick Builder
3. HMIWeb Display Builder
세 가지가 있습니다.
STATION은 자동제어를 감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그래픽을 통해 설비의 제어 및 상태를 확인합니다.
또한 각종 경보 발생 상황을 확인하고 스케줄 운전을 위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QuickBuilder는 자동제어가 동작할 수 있도록 각종관제점을 만들고 설정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것들이 서버와 현장제어기와 메칭이 되어야 정상적인 자동제어 관제가 가능합니다.
HMIWeb Display Builder는 STATION 프로그램에서 장비의 운영을 쉽게 표시해 주는 그래픽을 설정하는 프로램입니다.
그림툴이라고 보면됩니다.

■가동상태(이력) 확인
장비의 가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래픽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관제점을 더블클릭하면 포인트 창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에서 Recent Events 탭을 클릭하면 명령 또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System Manu의 EVENT로 들어가서 해당 관제점을 찾아서 확인하면 됩니다.

자주 확인해야 되는 장비의 경우에는 초기 하니웰 설치기술자에게 설정을 요청하여 보고서가 자동적으로 작성되도록 하면 좋습니다.(SIEMENS의 경우에는 운영자가 쉽게 만들고 메크로 연동이 가능한데 Honeywell제품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스케줄 운전

스케줄운전의 설정하는 방법은 글로벌스케줄과 포인트스케줄이 있습니다.

글로벌 스케줄은 만드는 방법이 어렵다는 이야기만 들었고 자세한 매뉴얼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포인트 스케줄은 각 관제점마다 시간을 설정해서 기동정지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화장실배기송풍기를 매시간 50분 가동 10분 정지시키고자 한다면 해당되는 포인트 스케줄을 48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몇 가지 관제점을 묶어서 명령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 같습니다.)

스케줄에 의한 명령은 1회입니다.

중요한 것은 스케줄운전에 관한 데이터는 서버에서 관리합니다.

어떤 장비가 기동명령으로 기동한 후 만일 서버와 DDC의 통신이 끊어질 경우 장비는 정지시간이 지나가도 계속 기동을 합니다.

통신이 복구되어야만 정상적인 스케줄 운전이 가능합니다.

 

History

모든 관제점(특히  아날로그)의 데이터를 서버에서 저장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관제점에 어떤 기간(간격)으로 저장할 것인가를 History로 설정해야 합니다.

만일 확인하고자 하는 관제점의 이력값이 없다면 History로 설정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이것 또한 하니웰 기술자가 포인트를 만들 때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