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철도안전관리체계변경
- 전기기초이론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
- 티스토리챌린지
- 철도교통안전관리시험
- 전기기사필기이론
- 철도공학정리
- 전기기사회로이론정리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 철도안전법공부
- 회로이론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공학
- 철도교통안전관리자공부
- 오블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대비
- 전기기사회로이론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준비
- 기계설비안전
- 교통안전관리론정리
- 철도안전법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안전법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자격증
- 교통안전법정리
- 승강기안전스위치
- 철도안전관리자시험
- 에스컬레이터안전스위치
- 철도산업위원회
- 철도안전법
- 교통안전관리자시험
- Today
- Total
사시경의 경험론
철도시설 정밀진단(건축물 분야) 본문
■관련법 : 철도건설 및 유지관리법
-철도분야의 정밀진단 성능평가 대상을 국가철도 전시설물로 확대적용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정밀진단 성능평가에 관한 사항, 정밀진단 성능평가 실시자 교육
■점검의 종류
-정기점검(일상적인 점검활동)
-정밀진단(물리적 기능적 결함 발견하고 적정한 조치),
-성능평가(철도시설 안전성,내구성, 사용성 종합적 평가)
■유지관리계획
- 국가계획 : 국토교통부장관이 매 5년마다 수립하고 시행
- 철도시설관리자 : 매년 수립 시행
■정밀진단 실시시기
- 개통이후 10년 경과후 시행, 등급에 따라 4~6년 마다 시행
- A등급 : 6년 마다, B. C 등급 : 5년 마다, D.E등급 : 4년 마다 1회
■성능평가 시기
5년마다 실시, 직전 성능평가 완료일 기준 1년 이내
철도건축물 규모에 따른 분류
1종(고속철도, 광역도시철도, 일반철도 구분없음) : 연면적 30,000m^2 이상
2종(고속철도, 광역도시철도) : 1종에 해당되지 않는 역사, 일반철도 : 연면적 5,000m^2 이상
■철도시설 안전진단 전문기관 등록기준(시행령 별표5의2)
-자본금 : 1억원이상, 기술인력 8명(특급 2명, 중급 3명, 초급 3명)
-소유장비
*필수 : 균열폭측정기, 철근 탐사장비, 코어체취기, 비파괴시험장비, 반발경도측정기, 철근부식측정장비, 도막두께측정장비, 초음파측정기, 염분측정장비, 측량기
*건축분야 : 진동측정기, 정적변형측정기
- 진단장비관리(검교정) : 초음파측정기 및 측량기 2년마다, 염분측정장비 및 도막두께 측정장비 1년 마다
■정밀진단 및 성능평가 결과 평가 : 국토안관리원 및 교통안전공단 위탁
■성능평가 대상
기계 및 부대설비(열원설비, 공기조화설비, 환기설비, 급수 급탕설비, 오배수 통기설비, 위생기구설비, 오수정화 설비, 배관설비, 덕트설비, 자동제어설비), 소방설비, 냉난방 및 환기설비, 승강설비, 승강장안전문
■정밀진단 업무흐름도
사전조사 ⇒
현장조사(기본과업 : 건축기계설비 및 계측시설의 작동 유무, 선택과업) ⇒
현장조사 결과 검토 및 분석 ⇒
상태평가 ⇒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
보고서 작성
※정밀진단 평가항목중 기계설비 부분중 기계설비 성능점검의 항목의 경우 해당 결과 활용
승강설비의 경우 승강기 정기검사 또는 정밀안전검사 보고서 결과 활용
소방설비의 경우 소방시설점검결과 보고서 결과 활용
'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컬레이터 인레트(In-Let)스위치 (0) | 2023.11.06 |
---|---|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_ 스텝 들림 스위치 (0) | 2023.11.01 |
하니웰 자동제어 EBI R610 (0) | 2023.05.16 |
급배수 위생설비_정화조 (0) | 2022.09.28 |
급배수 위생설비_배수펌프 설비/집수정 (1) | 202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