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경의 경험론

급배수 위생설비_정화조 본문

설비

급배수 위생설비_정화조

사시경 2022. 9. 28. 04:26
728x90
반응형

1. 개요

정화조는 하수도법에 의해 오수를 배출하는 건물이나 시설에 설치하는 것으로 분류식 하수관로로 유입시켜 처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인하수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합류식 하수관로의 설치지역에 수세식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정화조를 설치해야 됩니다.

오수처리 방법은 아래의 세가지가 있습니다.
①정화조 :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구역 내에 있으며 합류식 하수관로 설치지역인 경우
②오수조 : 공공하수처리시설 안에 있으며 신도시 처럼 분류식 하수관로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지역인 경우
③오수처리시설 : 하수처리구역 밖에 위치하고 하루 오수 발생량이 2㎥ 초과하는 경우
오수처리시설은 발생하는 모든 오수를 자체처리 합니다. 처리된 오수는 하수도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됩니다.

정화조의 규모는 처리대상 오수를 전부 처리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정화조의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정화조 구조(부패조 방식)

반응형

2. 정화조 구조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에는 정화조실이 설치 되어있습니다.
정화조실(관리층)에는 건물의 각층에서 모이는 배관과 통기관 그리고 환기를 위한설비, 펌프배관, 제어반 등이 설치되어있습니다.
아래층은 정화조로 일반적으로 제1부패조(소화조), 제2부패조, 여과 쇄석조, 방류조(배수조)로 구획 되어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수는 정화조의 제1부패조로 모이고 제2부패조로 이동한뒤 여과조와 쇄석조를 통해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러내어 순수한 오수만 방류조(배수조)로 이동합니다.
배수조에는 오수펌프를 설치하여 정화된 오수를 건축물 외부 하수도에 방류시킵니다.

3.정화조실(관리층) 설비


(1) 정화조실 급배기 송풍기
정화조 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해 구획된 공간으로 오수펌프 유지보수, 정화조 청소, 발생 오염염의 제거 등 정화조 관리를 위한 장소입니다.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악취와 유지관리자의 질식사고 방지를 위해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됩니다.
급기 송풍기와 배기송풍기를 설치하여 항상 공기를 주입하고 외부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정화조실에 송풍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점검을 위해 좁은 밀폐공간에서 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위치의 특성상 습기에 의한 부식이 많아 장비의 수명 저하가 빨랐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덕트를 공조실까지 끌어와서 정화조 급기, 배기 송풍기를 설치한 곳도 있습니다.
유지관리 차원에서 용이하지만 단점은 덕트의 누기 또는 탈취장치의 기능불량시 악취가 공조실내에 퍼질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정화조실에 송풍기를 설치하는 것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

(2) 동력제어반
정화조실에 동력전원이 필요한 장비는 오수펌프와 송풍기가 있습니다.
오수펌프와 정화조 송풍기전원공급과 제어를 위해 동력제어반이 설치됩니다.
정화조실의 실내 환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비에 취약합니다.
습기로 인한 부식 우려가 높아 전기설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부식과 습기를 고려하여 동력제어반(MCC)은 별도의 위치에 설치합니다.
정화조실과 인접한 적정한 장소에 설치합니다.
바로 윗층 화장실에 설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3) 수위제어반 / 오뚜기 스위치
배수펌프실과 동일하게 방류조가 일정한 수위가 되면 펌프를 가동시켜 오수를 하수관로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또한 일정 수위가 되었는데 펌프의 고장 등으로 수위 상승시에 고수위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펌프의 가동으로 수위가 저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펌프가 계속 가동할 경우에는 수중펌프의 모터가 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저수위 경보를 발생시켜 유지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펌프를 가동시키고 고수위 및 저수위 경보 발생을 위한 장치가 오뚜기 스위치와 수위제어반 입니다.

(4) 오수펌프(오수용 배수펌프)
오수펌프는 수중형 볼텍스형으로 부식 등을 고려하여 일부 부품은 스텐레스강을 사용합니다.
펌프는 배관과 자동탈착식으로 설치하고 인양을 위해 체인을 부착하고 정화조실 천장에 체인블록 걸이를 설치해야 합니다.
펌프는 고장을 대비하여 동일한 성능의 예비펌프를 설치합니다.

이상으로 정화조 설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정화조 관리에서 중요한 사항은 하수도법 제39조제2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3조제1항에 따라 『매년 1회 이상 정화조 청소』를 실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정화조실 작업시 주의사항

정화조실 출입전 산소농도(적정농도 18% ~ 23.5%)를 측정하여야 하며, 안전이 확인된 후에 환기팬을 설치하여 작업간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합니다. 또한 작업자는 「밀페공간에서의 작업」에 관한 특별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