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기기사회로이론
- 전기기사회로이론정리
- 회로이론정리
- 철도산업위원회
- 철도안전법정리
- 철도안전법공부
- 전기기초이론
- 철도안전관리체계변경
- 전기기사필기이론
- 철도교통안전관리자공부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준비
- 에스컬레이터안전스위치
- 티스토리챌린지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자격증
- 철도안전관리자시험
- 오블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
- 기계설비안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공학
- 철도안전법
- 교통안전법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대비
- 승강기안전스위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교통안전관리론정리
- 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교통안전관리시험
- 철도공학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안전법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9)
사시경의 경험론

무인운전 시스템을 준비하면서 이루어진 주요 진행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무인운전에 관한 컨설팅 기본적으로 T&C전문가, 관제 전문가, 열차 차량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컨설팅을 받기 전 각 전문가가 어떠한 업무를 수행해야 되는지 정확한 내부적 지침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전문가 투입 후 절차대로 업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시공사에서 주는 자료는 부족한 면이 있고 시스템을 설계한 회사에서는 제한된 자료만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시스템을 경험한 사람의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그분들이 쌓은 경력으로 입수하기 어려운 자료뿐만 아니라 운영상 문제가 되었던 기술적 문제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러므로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 선정 시 이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

(1) 개 요 열차 무인운전 시스템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신분당선, 김해경전철, 의정부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 인천2호선, 부산4호선, 대구3호선, 신림선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이렇게 많은 노선이 무인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장되는 노선을 제외하고는 앞으로 신설되는 노선은 모두 무인 열차 운행 시스템을 도입합니다.(GTX 제외) 인건비뿐만 아니라 자동 시스템이 오히려 더 안전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관제사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무인열차 운행 시스템을 처음 경험하고 운영과정에서 느낀 점 등을 설명해 나가겠습니다. 요즘은 최신의 이동 폐색 방식을 사용하지만 저는 고정 폐색 방식 경험을 했습니다. 제가 경험한 시스템은 프랑스 지멘스사의..

1. 개요 정화조는 하수도법에 의해 오수를 배출하는 건물이나 시설에 설치하는 것으로 분류식 하수관로로 유입시켜 처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인하수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합류식 하수관로의 설치지역에 수세식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정화조를 설치해야 됩니다. 오수처리 방법은 아래의 세가지가 있습니다. ①정화조 :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구역 내에 있으며 합류식 하수관로 설치지역인 경우 ②오수조 : 공공하수처리시설 안에 있으며 신도시 처럼 분류식 하수관로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지역인 경우 ③오수처리시설 : 하수처리구역 밖에 위치하고 하루 오수 발생량이 2㎥ 초과하는 경우 오수처리시설은 발생하는 모든 오수를 자체처리 합니다. 처리된 오수는 하수도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됩니다. 정화조의 규모는 처리대상 오수를..

▶개 요 기계설비분야 유지관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배수펌프실입니다. 집수정이라고도 합니다. 배수펌프실 내부 기본 구조와 배수펌프를 가동하기위한 메커니즘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수펌프는 일정 수위에 도달시 설치된 펌프를 자동으로 동작시켜야 하며 일정 수위 이하로 하락하면 정지시키며 탱크내 유입량이 많거나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문제시 고수위 등 경보를 발생시켜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실은 건물내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하므로 지하에 설치되어있습니다. 배수펌프실은 생활하수용, 우수배수용, 정화조용 등으로 구분되어 설치하거나 상황에 따라 합류식으로도 합니다. 그외 별도의 배수를 위해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배수펌프 실 진입시 주의사항 배수펌프실은 일반적으로 밀폐공간에 해당됩..

1. 개 요 급수설비는 시설물에 상수도를 공급하고 저장하는 설비입니다. 상수도 단수에 대비하거나 소방용수를 저장하는 용도입니다. 시상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을 사용 건축물 각 사용처에 따른 용도별 구역별로 공급해 주기 위한 경유지로 보면 됩니다. 건축물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최초로 시작되는 지점으로 봐도 됩니다. 주요 부속기기는 배관, 밸브류, 물탱크, 펌프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설물의 급수량은 위생기구의 필요수량, 공조기기의 보급수량, 소화용 수량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급수설비의 방식은 여러 방법이 있지만 상수도 직결과 물탱크(저수조) 겸용이 일반적입니다. 2. 주요 부속품 물탱크실의 급수배관 구조는 위 그림과 같습니다. 주요 부속설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시수 맨홀 시 상수도관에서 건축물로 연..

(3) DI(Digital Input : 디지털 입력) 디지털 값은 0 또는 1로 정의되며 상태 값, 경보 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관제점입니다. 현장 송풍기의 가동상태는 동력제어반의 마그네트 보조 접점이 붙는 경우 가동상태로 인식하고 보조 접점이 떨어지는 경우 정지상태로 인식하여 원격제어반(DDC 또는 RTU)에 접점 상태 값이 전달됩니다. 원격 제어반 내의 DI(Digital Input) 카드로 해당 신호가 전달되어 접점을 형성하여 메인보드 프로세서에 보내서 통신을 통해 자동제어 서버로 해당 관제점의 상태를 전달합니다. DI카드는 해당 상태 관제점 별로 LED 표시등이 설치되어 자동제어 시스템의 이상인지 아니면 동력 제어반에서의 문제인지 비교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그네트(MG)의 보조접점을 이용한 상..

▶ 관제점 종류 앞서 설명했듯이 관제점은 실제 관제점과 가상 관제점으로 분류하고 실제 관제점은 다음과 같은 종류로 분류됩니다. 아날로그 수치를 인식하고 제어하는 관제점과 디지털 수치를 인식하고 제어하는 관제점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는 수치를 명령(AO)할 것인가? 수치를 읽어 올 것(AI)인가?로 나누어지고 디지털은 명령을 줄 것(DO)인가? 명령된 상태를 확인(DI)할 것인가?로 분류됩니다. 관제점을 AO, AI, DI, DO로 분류했습니다. 그럼 AI 앞자리 "A"는 아날로그(Analog)라는 것은 알겠는데 "I"는 무엇일까요? DO의 앞자리 "D"는 디지털(Digital)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O"는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자동제어 서버를 기준으로 서버로 들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