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기기사회로이론정리
- 승강기안전스위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교통안전관리자시험
- 에스컬레이터안전스위치
- 철도안전관리자시험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안전법
- 철도공학정리
- 철도안전법정리
- 티스토리챌린지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철도공학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준비
- 철도안전법
- 교통안전법정리
- 철도안전법공부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
- 교통안전관리론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시험
- 전기기초이론
- 철도안전관리체계변경
- 오블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공부
- 전기기사회로이론
- 기계설비안전
- 전기기사필기이론
- 철도산업위원회
- 회로이론정리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시험대비
- 철도교통안전관리자자격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9)
사시경의 경험론

동력 제어반(MCC) 1에 이어 동력 제어반 2에서는 내부 주요 부품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우선 일반적인 Y-Δ 기동 회로를 보면 아래 그림의 회로도와 같습니다. 이 회로도를 참고하여 각 부속품의 기능과 간단한 원리를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회로도를 한 두 번 그려보시는 것을 주천합니다. 도면은 눈으로 보는 것보다 각 회로를 따라 그려보면서 경로를 확인하면 좀 더 빨리 이해가 됩니다. 도면의 기호들도 다양하므로 책자나 유튜브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찾아가며 공부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주요 부속기기 1. 배선용 전원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부스바에서 각 장비 MCC 제어반으로 오는 첫 단에 배선용 전원차단기가 설치됩니다. 이 부분은 제어반 외관의 ..

▶ 개 요 기계설비 장비는 기본적으로 전력을 사용합니다. 송풍기,펌프류, 냉동기를 기동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필요합니다. 전동기에 전기가 공급되어 송풍기를 돌리거나 펌프를 동작시키고 냉동기 압축기와 실외기팬을 기동 시키게 됩니다. 이런 전동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회로를 기동회로라고 하고, 기동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를 조작회로로 구분합니다. 보통 기계설비에서 사용하는 기동회로는 220V, 380V를 사용하고 조작회로는 220V를 사용합니다. 전기실이나 변전실에서 각 기능실로 위의 전원이 공급되는데 이 전원을 받아서 현장 각 장비로 보내는 중간에 동력제어반(모터제어반)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보통 'MCC제어반' 또는 'MCC' 라고 부릅니다. 동력제어반의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공기조화기 1에 이어 내부 구성품에 대해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4. 열교환기(코일)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의 역할뿐만 아니라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장지 이기도합니다. 현대 사회의 밀폐된 건물에 가장 중요한 기능입니다. 실내로 들어온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인데 유입된 공기에 냉수나 온수를 통과시켜 주면 되는 원리입니다. 찬 물을 흘려주면 열교환을 통해 찬 공기가 되고 더운물을 흘려주면 더운 공기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공기가 흘러가는 공간에 열교환을 위해 설치하는 부속장치가 열교환기(COIL)입니다. 팽창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코일에 냉난방 사이클상 냉매를 흘려주는 것이 직접 팽창식(직팽식)이고 코일에 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간접 팽창식이라고 합니다. 간접 팽창식의 경우 별도 냉동기에 의..

공기조화기(공조기)란? 공기조화기는 기계설비로서 건물내 강제로 공기를 넣어주거나 밖으로 빼주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에 창문을 통해 자연환기 시켰던 것과 달리 기계를 통해 급기 또는 배기를 합니다. ▶기능 이 과정에서 공기 조화기내에 필터를 통해 더러운 공기를 처리하고 코일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을 합니다. 냉난방 과정에서 손실되는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환기된 공기를 일부 재순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환기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등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개도를 변화시켜 외기 공기와 환기되는 공기의 비율을 맞추어 줍니다. 과거에는 공조기가 겸용으로 소방제연 기능을 담당하기도 했습니다. 요즘은 법이 바뀌어 소방제연용 송풍기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