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경의 경험론

VAL시스템 구원운전 방식 본문

열차무인운전

VAL시스템 구원운전 방식

사시경 2022. 11. 8. 21:51
728x90
반응형

구원운전은 열차 고장으로 자력이동이 불가능할 경우 앞서가는 열차 또는 후속 열차가 고장 열차를 견인하는 것입니다.
VAL시스템에서는 고장열차발생시 후속 열차에 의해 앞 열차(고장 열차)를 구원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무인운전방식인 만큼 별도의 인력지원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승객 안전 및 구원운전시의 문제 발생 등을 고려하여 고장 열차와 구원열차에 안전요원을 탑승시킵니다.
구원운전은 절차가 복잡하고 안전상 중요한 문제가 발생되므로 반드시 절차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절차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간략히 VAL시스템의 구원운전 방식을 알아 보겠습니다.

1. 고장 열차 발생

열차 고장으로 인해 자력으로 열차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슈퍼바이저가 구원운전 실시를 결정합니다.
고장 열차가 역간에 있는 경우 안전요원을 열차에 진입시켜야 합니다.
고장열차 가장 가까운 역사와 구원열차에 안전요원을 이동시킵니다.
역에서 본선으로 진입하기 전에 안전요원의 안전 확보를 위해 본선 단전을 실시해야 됩니다.
본선 단전하기 전에 본선 내 열차를 역사에 정차시키고 출입문을 개방합니다.
전체 열차의 정거장 정차가 확인되면 단전을 실시합니다.
단전 후 관제사는 승인번호를 부여하고 안전요원은 선로 출입문을 통해 열차로 이동합니다.
고장 열차에 도착한 안전요원은 열차 탑승 후 관제에 탑승사실을 알리고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고장 상황을 확인해 줍니다.
후속 구원열차에도 안전요원을 탑승시킵니다.(경험상 VAL시스템은 안전 확보를 최우선으로 설계하여 조치 시간 단축에는 많은 의미를 두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정서와는 조금 부합되지 않는 면도 있습니다)

2. 구원운전 준비

구원운전을 위해 관제사는 선로 내에 안전요원 또는 승객의 이상 유무를 확인 후 급전을 실시합니다.
본선 급전이 되면 후속 구원열차를 고장 열차 바로 전 블록으로 이동시킵니다.
(고장 열차 정지 블록 B, 전 블록을 B-1이라 표시)
이제 모든 구원운전 준비는 끝났습니다.

3. VAL 시스템 구원운전 실시

구원운전은 시스템에 의한 자동 구원운전과 수동 구원운전으로 구분합니다.
자동 구원운전이 기본이고 자동구원운전을 할수 없는 경우거나 자동구원운전 실패의 경우 실시합니다.
자동 구원운전은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구원운전은 슈퍼바이저가 시스템을 실행합니다.
시스템 실행과 더불어 슈퍼바이저 제어탁에 있는 스위치류도 함께 실행해야 됩니다.

구원운전준비
구원운전

(1) 1단계 : 고장 열차와 구원열차의 열번 입력
각각 부여된 임무를 실행할 열차번호를 설정합니다.

(2) 2단계 : 고장열차 위치 블록(B) 설정
고장 열차의 위치를 시스템에 입력합니다.
이는 한 개 블록에 두 개의 열차가 진입 시에 블록 로직 알람이 발생되는 것을 무력화시키기 위함입니다.
(B블록과 B-1블록이 구원 모드로 인식)
보통 2단계 입력 시에 4단계 입력을 미리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B+1블록)
이는 블록의 경계면에 고장 열차가 있는 경우 B+1블록으로 열차가 넘어갈 경우 블록 로직 알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구원운전 모드를 B+1블록까지 연장합니다.

(3) 3단계 : 실행 시 후속 구원열차가 이동을 시작합니다.(0.8m/s)
관제사는 열차 내의 스피커를 통해 운행상태를 확인합니다.(열차 내 CCTV가 설치되어있지 않습니다)

(4) 4단계 : 2단계에서 전술했듯이 2단 계시 구원 모드가 B, B-1블록에 설정되어있습니다.
4단 계시 B, B+1블록으로 연장합니다. 4단계는 구원열차 블록에서 열차가 사라진 후(고장 열차 블록으로 열차이동) 실행합니다. 만일 B-1블록에 열차 점유 상태에서 4단계를 실행하면 B-1블록의 구원운전 모드가 해제되어 블록 로직 알람이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합병 전 탑승 중인 안전요원에게 관제사는 지속해서 열차 간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구원열차가 계속 이동(0.8m/s)하여 합병을 합니다.

(5) 5단계 : 합병 후 5단계를 실행하면 열차는 해당 블록의 정상운행 속도의 90% 속도로 운행을 시작합니다.
합병된 열차가 첫 번째 정거장에 도착하면 앞쪽의 고장 열차가 먼저 역사 정위치에 도착합니다.
도착 후 열차 출입문을 개방합니다.

관제사는 미리 해당 역사의 역사 정차 제어장치에 도어 개방을 설정하여 놓습니다.
승객 하차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다시 관제사는 열차 강제 출발 명령을 내리면 합병 열차가 이동하여 구원열차 정위치에 정차합니다.
역시 승객을 모두 하차시키고 하차가 확인되면 출입문을 닫고 열차를 출발시킵니다.
다음 역부터는 열차 무정차를 위해 열차에 무정차 통과 설정을 합니다.
구원 합병된 열차는 차량기지 또는 종착역 유치선으로 이동시킵니다.

위에 합병된 열차가 역사에서 2단계 정차로 승객의 하차가 완료된 후에는 전구간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 재개합니다.


VAL시스템의 무인운전 구원운전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실제로는 단계별로 좀더 디데일적인 조작이 있습니다.
그러나 개략적인 단계별 진행현황 설명만으로 충분히 무인운전 시스템의 자동구원 방식이 설명되었다고 생각됩니다.

자동구원운전이 실패하는 경우에도 절차서에 따라 위의 단계별 시스템은 그대로 적용하고 실재로 열차의 운행은 탑승한 기관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 수동구원운전 방식이 있으며, 이마저도 안되는 경우에는 시스템도 무시하는 완전 수동구원운전 방식을 적용합니다.

구원운전은 관제사들 뿐만아니라 현장직원들의 유기적인 협조가 잘 이루어져야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구원운전 훈련을 통해 실습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최선입니다.



728x90
반응형